http://terms.co.kr/OSIfig.htm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
[주] 그림으로 나타낸 OSI 참조 모델을 참고할 것
OSI[오에스아이]는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컴퓨터가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에 대한 표준규약 또는 참조 모델이다. 이것의 목적은 통신 제품을 만들 때 다른 제품과 모순됨이 없이 통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 참조 모델은 통신의 종단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을 7 계층으로 정의했다. OSI가 잘 정의된 계층마다 관련된 기능을 따르도록 강하게 고수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제품들은 OSI 모델에 관련된 정의들을 따르기 위해 노력한다. OSI 모델은 또한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에서 통신에 대해 교육하고, 논의하는 유일한 참조 모델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주요 컴퓨터와 통신 회사 대표자들에 의해 1983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OSI는 본래 인터페이스 사이의 상세 규정을 시도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다른 것들 간에 상세 인터페이스 규정을 개발할 수 있는 공통의 참조 모델을 확립하기로 결정하였으며, 그것은 표준이 될 수 있었다. OSI는 ISO에 의해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현재, 이것은 ITU의 권고 X.200 이다.
OSI의 주된 개념은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두개의 종단 이용자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계층별로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통신 이용자는 7 계층의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이용한다. 이용자들 사이에 메시지가 주어지면, 컴퓨터에서 한 계층씩 아래로 각 층을 통과하여 데이터가 흐르게되고, 다른 쪽에서는 메시지가 도착할 때 메시지를 받는 컴퓨터는 한 계층씩 위로 통과하여 이용자에게 전달 될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7 계층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는 컴퓨터 운영체계,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TCP/IP 또는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웍 프로토콜과 이용자의 컴퓨터에 구성된 회선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함께 결합된다.
OSI는 7 계층으로 통신을 나누는데, 이 계층들은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상위 4 계층은 이용자가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네트웍 계층까지의 아래의 3 계층은 메시지가 호스트를 통과 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에 보내진 데이터는 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다른 컴퓨터에 보내진 메시지는 위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고 다른 호스트로 전달된다.
7 계층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7 계층 : 응용계층 ... 이 계층에서는 통신상대, 서비스 품질, 사용자 인증과 비밀을 고려하고, 데이터 구문의 제약을 정한다 (이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용프로그램 자체는 아니다).
- 6 계층 : 표현 계층 ... 이 계층은 운영체계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에서 다른 표현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텍스트로 도착한 데이터를 팝업 윈도우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표현 계층을 문법 계층이라고 하기도 한다.
- 5 계층 : 셰션 계층 ... 이 계층에서는 종단 호스트 프로그램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설정을 하고, 데이터를 받는 동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은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 4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이 계층은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즉,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 3 계층 : 네트웍 계층 ... 이 계층은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다 (패킷이 정확한 수신자에게 보내지도록 올바른 경로는 제어하여 수신 쪽에서 받을 수 있게 한다). 네트웍 계층은 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쪽으로 전송한다.
- 2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이 계층은 물리적 레벨의 에러 제어와 동기를 제공하고, 5를 초과하는 1의 스트링으로 비트화한다. 이 계층은 전송 확인과 관리를 담당한다.
- 1 계층 : 물리 계층 ... 이 계층은 전기 기계적으로 체계를 갖춘 네트웍을 통하여 비트열을 나른다. 이 계층은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하드웨어 수단을 제공한다.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에이치 디 엘 씨]는 데이터 통신의 OSI 7계층 모델의 제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X.25 패킷 스위칭 네트웍 내에서 사용된다. HDLC에서 데이터는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단위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은 네트웍을 통해 송신되고, 도착지에서는 성공적으로 도착하였는지를 검증한다. HDLC 프로토콜은 데이터 프레임 내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끼워 넣는다. HDLC는 OSI라고 불리는 산업계의 통신참조모델 제2 계층 내의 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제1 계층은 실제적으로 전자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등의 작업들이 관련된 상세한 물리 계층이며, 제3 계층은 네트웍에 관한 지식을 가지는데, 이는 데이터를 어디로 전달하고 또 보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접근을 포함한다. 전송할 때, 제3 계층 내의 프로그램은 보통 발신지와 수신지의 네트웍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HDLC (제2 계층)는 하나의 새롭고 커다란 프레임에 데이터링크 제어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제3 계층 프레임을 캡슐화한다. HDLC는 1970년대에 메인프레임 컴퓨터 환경의 IBM 대형고객사이트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된 SDLC 프로토콜로부터 발전한 ISO 표준이다. HDLC 내에 있는 본질적인 SDLC의 프로토콜은 NRM (Normal Response Mode) 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NRM에서, 보통 메인프레임 컴퓨터가 주 스테이션이되어, 같은 지역내이거나 또는 원거리지역에 있어 전용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조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보낸다. |
HDLC의 변종들 역시 X.25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공중네트웍이나, 근거리통신망이나 광역통신망 두 가지 모두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프레임 릴레이를 위해 사용된다.
HDLC의 X.25 버전에서는 데이터 프레임이 하나의 패킷을 포함한다 (X.25 네트웍은 데이터 패킷이 라우터에 의해 감지되는 네트웍 상황에 의해 결정된 경로를 따라 자신들의 목적지로 이동한 후, 최종목적지에서 원래의 순서대로 재조립된다). HDLC의 X.25 버전은 양단에서 모두 듀플렉스 링크를 통해 통신을 개시할 수 있는 peer-to-peer 통신을 사용한다. HDLC의 이러한 모드를 LAPB라고도 한다.
다음 표에 HDLC의 변종과 용도에 대해 정리하였다.
HDLC의 부분집합들 | 용 도 |
---|---|
NRM (Normal Response Mode) | 특히 SDLC를 사용하는 멀티포인트 네트웍 |
LAP (Link Access Procedure) | 초창기의 X.25 |
LAPB (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 현재의 X.25 |
LAPD (Link Access Procedure for the ISDN D channel) | ISDN의 D 채널과 프레임 릴레이 |
LAPM (Link Access Procedure for Modems) | 에러교정 모뎀(V.42 라고 표기된) |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필드는
FCS필드
Flag필드
Control필드
[주] ATM은 automated teller machine의 약자로 고객이 은행창구에 가지 않고서도 업무를 처리 할 수 있는 '현금자동지급기'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널리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ATM과 automated teller machine의 ATM은 약어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의미이다.
ATM은 디지털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dedicated-connection) 스위칭 기술이다. 하나의 셀은 개별적으로 다른 셀 들과 관련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되고 회선공유를 위한 멀티플렉싱을 하기 위해 큐(queue)에 들어가게 된다.
ATM은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로 더 쉽게 구현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얘기되고 있는 ATM망의 전송속도는 155.520 Mbps 또는 622.080 Mbps 정도이지만, IEEE 스펙트럼에서는 이러한 속도가 곧 10 Gbps에까지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보고했다. SONET 그리고 몇 개의 다른 기술과 함께 ATM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핵심 기술이다.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아이이 티에프]는 TCP/IP와 같은 인터넷 운영 프로토콜의 표준을 정의하는 주체이다. IETF는 IAB의 감독을 받으며, IETF 구성원들은 Internet Society의 개인 또는 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 선발된다. 표준들은 RFC의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
데이터 전송 경로
터미널-모뎀-통신 채널 모뎀-모뎀-통신 제어 장치-컴퓨터
출처: http://terms.co.kr/
'자격증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년 05월 14일 필기시험 사무경영관리개론 (0) | 2008.02.18 |
---|---|
2006년 05월 14일 필기시험 프로그래밍 일반 (0) | 2008.01.31 |
2006년 05월 14일 필기시험 사무자동화 시스템 (0) | 2008.01.31 |
2006년 03월 05일 필기시험 사무자동화시스템 (0) | 2008.01.29 |
2007년 08월 05일 필기시험 사무자동화시스템 (0) | 2008.01.24 |